• KO
  • EN
  • 김설아

    {"arrow":"true","pagination":"false","speed":"500","autoplay":"false","autoplay_speed":"3000","loop":"false","slide_to_show":"1","slide_show_ipad_swpr":"1","slide_show_tablet_swpr":"1","slide_show_mobile_swpr":"1","slide_to_column":"1","auto_stop":"false","centermode":"true","space_between":"0","animation_swpr":"slide","height_auto_swiper":"false","direction_swpr":"horizontal","vertical_height":""}

     

    <물의 희롱>, 2018

     

    ()국군광주병원은 무거운 역사 속에서 잠들지 못하는 시간처럼 낮과 밤이 서로 침범하는 공간이며, 살아도 것이 아닌 자와 죽어도 죽은 것이 아닌 자의 기억이 검게 남겨져있다. 이곳은 오랜 시간 굳게 잠겨 있었으나 끊임없이 읊조리는 땅처럼 없는 이들의 상처가 발화되고 전해지며 꿈틀거린다. 무고하고 연약한 이들이 가느다란 줄들에 의지하고 휘청이며 비틀리던 움직임이 드러나고, 소리 없이 사라져간 비명(非命) 기억이 이를 몸으로 증언하는 생명체로 소환되기를 원했다. 작가는 속의 글이나 사진으로 기록될 없는 것에 관심 두고, 심상으로 기억하는 예술의 역할을 고민하며 작업해 나가고 있다. 모두가 떠나고 허물어진 공간에 오랜 시간 남겨진 아주 연약하고 미비한 존재들을 예민한 감각으로 상상하며, 작가는 미시적인 것들의 불안정한 움직임과 소리의 형상을 섬세한 방식으로 구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