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
  • EN
  • 창원스완

    {"arrow":"true","pagination":"false","speed":"500","autoplay":"false","autoplay_speed":"3000","loop":"false","slide_to_show":"1","slide_show_ipad_swpr":"1","slide_show_tablet_swpr":"1","slide_show_mobile_swpr":"1","slide_to_column":"1","auto_stop":"false","centermode":"true","space_between":"0","animation_swpr":"slide","height_auto_swiper":"false","direction_swpr":"horizontal","vertical_height":""}

     

    ‹머라이언은 언제 멸종되었나? — 스토리텔링의 성공 연구›, 2019~2020
    내러티브 퍼포먼스, 영상, 설치, 문서
    40분; 가변 크기
    작가제공

     

    ‹머라이언은 언제 멸종되었나?—스토리텔링의 성공 연구›는 자기관리를 통해 성공하는 방법을 조명한다. 성공에 대한 연구가 아시아에서 사회적 트렌드가 되었을 때는 아시아가 경제 성장을 일구던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개인적 성공에 대한 연구’와 ‘국가적 성공에 대한 연구’의 유사성은 ‘성공’에 단편적 해석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보편적 수사법으로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런 서사에서 절차적으로 정의되는 ‘민주주의’는 민주화 운동의 여러 실질적인 활동들을 대체한다.작가는 개인적이고 집단적인 가치가 서사를 통해 어떻게 구축되는지 의문을 품음으로써 아시아의 민주주의가 왜 아직 미완성인지에 대한 질문에도 답한다. 작가는 내러티브적 퍼포먼스를 통해 성공학 교수의 강론을 모방해, 21세기에 필요한 성공학을 ‘국가적 성공의 근간’으로 정의한다. 편집된 강의 퍼포먼스 영상은 이후 유튜브에 올려져 사이버 공간에 개입한다. 따라서 이 영상은 순환의 측면에서 하나의 사건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