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
  • EN
  • 황 치엔훙

    {"arrow":"true","pagination":"false","speed":"500","autoplay":"false","autoplay_speed":"3000","loop":"false","slide_to_show":"1","slide_show_ipad_swpr":"1","slide_show_tablet_swpr":"1","slide_show_mobile_swpr":"1","slide_to_column":"1","auto_stop":"false","centermode":"true","space_between":"0","animation_swpr":"slide","height_auto_swiper":"false","direction_swpr":"horizontal","vertical_height":""}

    황 치엔훙은 타이베이예술대학교 다간학제예술원(Institute of Trans-disciplinary Art)의 조교수다. 동아시아 현대미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며 전시기획과 집필, 번역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트렌스-픽션: 아시아 연구 프로젝트』(2017),『불협화음의 하모니』(2016),『몽타쥬의 미소』(2013), 『트렌스-플렉스 어젠더』(2011) 등 다수의 서적을 출간했고,『Esthétique relationelle of Nicolas Bourriaud』 (2013),『Image-Mouvment, Image-Temps of G. Deleuze』(2003),『La guerre n’a pas eu lieu』(2002),『L’objet singulier of J. Baudrillard』(2004),『Destin des images of J. Rancière』(2012)등 현대미술과 관련한 주요 미학 서적을 중국어로 번역했다. 또한 ‘침↑폼의 아름다운 세상과 EMU’ (2012), ‘정신분열증 대만 2.0’ (2013), ‘후기-움직임’ (2014), ‘트렌스-플렉스’ (2011), ‘불협화음의 하모니’ (2016), ‘재난속 공/감’ (2019), ‘퀴어링 움벨트’ (2019) 등을 기획하며 큐레이터로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중국 광저우의 비타민 크리에이티브 스페이스에서 초청 연구원 (2018)을 지냈고, 항주 융합미디어 미술대학에서 편집의원으로 활동했다. 이 외에도 대만과 베이징을 중심으로 여러 학계 편집위원회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